연도 | 주요내용 |
---|---|
후기구석기시대 | 천지연 '생수궤'바위그늘집(기원전 2만5천년 전, 연륙시기) |
상고시대 이후 | 주호(州胡)·탐모라(耽牟羅)·탐라(耽羅)·담라(儋羅)·탁라(托羅)·동영주(東瀛洲) |
삼국시대 | 탐라국(耽羅國), 성주(星主)·왕자(王子)·도내(徒內) 관작 받음, 국호(國號)를 탐라(耽羅)라 함 |
938년(고려 태조 21년) | 탐라국주(耽羅國主)에게 성주(星主)·왕자(王子)의 작위를 줌 |
1105년 (고려 숙종10년) | 탐라 국호 폐지, 탐라군(耽羅郡) 설치 |
1192∼1259 | 탐라군(耽羅郡)을 제주(濟州)로 개편 |
1271년(고려 원종 12년) | 삼별초 제주도(濟州島)에 입도함 |
1273년(고려 원종 14년) | 여·몽 연합군 삼별초 정벌. 원나라에서 탐라총관부 설치 |
1275년(고려 충렬왕1년) | 고려에서 분리되어 원나라에 예속. 국호 탐라 |
1294년(고려 충렬왕 20년) | 고려로 환속, 제주로 복호 |
1300년(고려 충렬왕 26년) | 제주목에 동도(東道)와 서도(西道)를 설치함. 대촌(大村) 외에 14개의 현촌(縣村. 예래현 · 홍로현)을 둠 |
1374년(고려 공민왕 23년) | 최영 목호(牧胡) 토벌 (최후 격전지 범섬) |
1416년 (조선 태종 16년) | 제주목(濟州牧), 정의(旌義),대정현(大靜縣) 설치 |
1439년(조선 세종 21년) | 홍로천 위에 서귀진(西歸鎭)을 축성(築城)함 - 포구마다 수전소(水戰所) 및 방호소(防護所) 설치 |
1466년(조선 세조 12년) | 영천에 영천관(靈泉館)을 건립함 |
1510년(조선 중종 5년) | 가래방호소(加來防護所)를 동해(東海/회수)로 이설 |
1590년(조선 선조 23년) | 서귀진(西歸鎭)을 서귀포(西歸浦) 위로 옮겨옴 |
1677년(조선 숙종 3년) | 동해방호소를 모슬진으로 이설 |
1780∼1789 | 정의현에 좌면·중면·우면〈(左面·中面·右面(서귀)〉, 대정현에 좌면·우면〈左面(중문)·右面〉을 둠 |
1895년(조선 고종 32년) | 제주부(濟州府)에 제주군(濟州郡)·정의군(旌義郡)·대정군(大靜郡)을 둠 |
1896년(조선 고종 33년) | 13도제 실시로 제주목, 정의군, 대정군이 됨 |
1906년 9월 24일 | 제주목이 제주군(濟州郡)으로 개편. 정의군, 대정군을 포함하여 전라남도 소속의 3군12면의 지방행정체제를 이룸 정의군(旌義郡)에 좌면·우면〈右面(서귀)〉·동중면·서중면, 대정군(大靜郡)에 우면·중면·좌면<左面(중문)〉을 둠 |
1915년 5월 | 군제(郡制)를 폐지하고 도사제(島司制) 실시와 함께 제주군에 속했던 중면을 제주면으로, 정의군 좌면을 정의면으로, 대정군 우면을 대정면으로 바꿈 |
1918년 10월 7일 | 법정사(法井寺)에서 무장항일운동 일어남 - 중문주재소 전소시킴 |
1935년 4월 | 제주도(濟州島) 우면(右面)은 서귀면(西歸面), 좌면(左面)은 중문면(中文面), 중면(中面)은 안덕면(安德面), 동중면(東中面)은 표선면(表善面), 서중면(西中面)은 남원면(南元面), 정의면(旌義面)은 성산면(城山面)으로 바뀌고 대정면(大靜面의) 명칭은 바뀌지 않음 |
1946년 8월 1일 | 도제(道制)실시, 남제주군 설치(7면 : 대정면, 안덕면, 중문면, 서귀면, 남원면, 표선면, 성산면) |
1956년 7월 8일 | 서귀면(西歸面), 대정면(大靜面)이 읍(邑)으로 승격 (2읍 5면 체제) |
1980년 12월 1일 | 남원면(南元面)과 성산면(城山面)이 읍으로 승격 |
1981년 7월 1일 | 서귀읍(西歸邑)과 중문면(中文面)을 통합, 서귀포시(西歸浦市)로 승격. 서귀포시 12개 행정동, 남제주군 3읍 2면 체제가 됨 |
1995년 7월 1일 | 지방자치제 전면 실시 |
2006년 7월 1일 | 제주특별자치도 출범. 서귀포시와 남제주군을 통합하여 행정시인 서귀포시 출범(3읍 2면 12동 76리 65통) |